TIL

[TIL] 내일배움캠프_Unity 5일차 컴퓨터 구조, 미니프로젝트 발표회

Hwone 2023. 8. 11. 20:31

미리 발표 준비를 끝낸 덕에 컴퓨터 구조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0과1로 표현하는 방법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
이진법 : 1로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하는 방법
십육진법 : 15로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 하는 방법
이진법,십육진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십진법 보다 변환하는게 간편하기 때문이다


-문자로 표현하는 방법 
아스키 코드 : 한 문자당 7비트로 표현하여 2^7개 즉, 12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유니 코드 : 통합적 문자 표현법이다 
인코딩 : 사람이 컴퓨터에게 전달할 때 , 문자 집합을 코드화 
디코딩 : 컴퓨터가 사람에게 전달할 때 , 코드화를 해석

 

https://hwon-note.tistory.com/23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2일차 - 0과 1로 숫자와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기본 지식 비트: 0과 1을 표현하는 가장 작은 단위 -n비트로 2^n 가지의 정보를 표현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수많은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비트보다는 더 큰 단위를 사용한다

hwon-note.tistory.com

 

미니 프로젝트 발표회 

다른 팀의 이야기와 기능들을 들으며 인상깊었던 부분들은 메모를 하면서 경청하였다 

인상깊었던 부분

- 환경설정을 만드셔서 볼륨 조절이 가능하게 만드셨다 
- 카드 배열만 늘린게 아니라 카드 회전으로 난이도를 높인 부분 
- 콤보 기능 
- 카드가 섞이고 배치되는 애니메이션이 마치 테이블탑 시뮬레이터에 나오는 것 같았다 
- 팀원의 이름과 카드 매칭을 연결하여야 정답으로 간주했던 부분

다음 팀에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은 부분 

- 발표를 오로지 혼자 하지 않고 느낀점 및 앞으로의 계획을 말할 때 발표자 뿐만 아니라 팀원분들이 마이크를 켜서 직접 말하셨던 점 (멋있어 보였다) 
- 코드리뷰 진행 
- 게임에 시나리오 ? 컨셉 ? 을 만들어서 재미를 더한 부분

- ppt가 재밌게 제작되어 집중이 잘 되었던 부분

후기 

인상깊었던 기능들은 직접 구현해볼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 일단 해당하는 분들의 블로그를 들어가 보았다

시간이 부족해서 직접 구현은 못해봤지만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는 감을 잡은 부분들이 있었다 그리고 우리팀은 "사운드 설정과 영상편집, 엔딩크레딧을 재밌게 보셨고, 마지막 카드 매칭 부분에서는 카드가 전부 사라지고 결과창이 사라지면 더 좋을것 같다" 라는 피드백을 받았다 일단 사운드와 엔딩크레딧 부분은 내가 했던 구현들이었는데 거기에 대한 칭찬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았지만 좀 더 게임적 요소들을 넣어 기능적으로 구현했던게 많았다면 더 피드백을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 라는 생각을 했다 멤버들과 친해지고 유니티와 협업에 익숙해지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하고 기능적인 부분 보다는 멤버들의 소개를 중점적으로 하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는데 너무 가볍게 생각했던것 같다... 다음번엔 신경을 더 써봐야겠다 

 

* 발표시간 잘 지키기!!